제가 생각하는 트레이딩이란...

1 927

안녕하세요?
트레이더 여러분, 반갑습니다.

"팔로우"를 해 두시면, 언제나 빠르게 새로운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부스트"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좋은 글을 남겨 주신 TradingBrokersView님께 감사드립니다.

(원본)
🚨 Bitcoin update! 🚨 BTC rejected at MA50 (4h) inside a Channel Down pattern. If history repeats, we could see a Lower Low at 95K (-10.7%), aligning with MA100 (1d) support. RSI (4h) is confirming bearish momentum.
🔥 Trading Plan: Sell now before further downside!

(구글번역)
🚨 비트코인 ​​업데이트! 🚨 BTC가 MA50(4h)에서 채널 하락 패턴 내에서 거부되었습니다. 역사가 반복된다면 MA100(1d) 지원과 일치하는 95K(-10.7%)에서 더 낮은 저점을 볼 수 있습니다. RSI(4h)는 약세 모멘텀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 거래 계획: 더 하락하기 전에 지금 매도하세요!

어떻게 말씀드리는 것이 좋을까 생각하다가 이렇게 아이디어로 말씀드리게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더 감사드립니다.

------------------------------------

#BTCUSDT 1M
snapshot
차트에 표시된 것과 같이 많은 상승을 한 상태이니 하락 압력을 받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입니다.

이 하락 압력이 얼마나 크게 올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다만,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자금의 흐름입니다.

snapshot
snapshot
좀 더 자세한 흐름을 보기 위해서는 1D 차트에서 갭 발생 상태를 봐야 하지만, 전체적인 자금의 흐름을 볼 때 많은 자금이 코인 시장으로 유입도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러한 자금의 유입에서 모두 매도하는 것은 앞으로 다가올 상승장에서 변동성을 이기지 못하고 오히려 손실을 입을 확률이 증가한다는 것 입니다.

그 이유는 매수 평균 단가가 너무 높게 설정될 가능성이 높고 변동폭 구간에 위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대응해야 합니다.

즉, 자신의 투자 스타일이 급하고 빠른 거래를 원하는 스타일이라면 언제든 하락하려는 모습을 보일 때 매도하여 수익을 얻는 전략이 적합할 것 입니다.

그렇지 않고 좀 더 긴 전망을 보거나 현물 거래 위주로 거래를 진행한다면 모두 매도하기 보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을 남겨 둠으로서 차후 상승장에서 보다 쉽게 매수를 진행할 수 있는 여유를 갖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을 남겨 둔다는 것은 매수 원금이 0인 코인(토큰)을 말합니다.

즉, 매수하여 가격이 상승하였을 때 매수 원금만큼 매도한 것을 말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BTCUSDT 1M 차트를 볼 때, 피보나치 비율 지점인 1.618 (89050.0) 부근이 상당히 중요한 지지와 저항 구간에 해당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TCUSDT 1D
snapshot
이번 변동성 기간은 1월 31일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이번 변동성 기간을 지나면서 101947.24 부근에서 지지 여부가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일 101947.24 부근에서 지지 받지 못하고 하락하게 된다면, 결국 1W 차트의 M-Signal 지표를 터치하면서 추세를 다시 결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의 아이디어를 계속 읽어 보셨다면, 차트 분석으로 거래 전략을 만들려고 하면 안된다는 것을 이해하였을 겁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차트 분석으로 얻은 정보로 본인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거래 전략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 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이제 하락할 것이니 모두 매도하라는 의견은 보는 사람들마다 다르게 와닫을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 수익 중인 분들도 있고 손실 중이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수익 중이신 분들은 하락하더라도 기다릴 수 있는 여유가 있을 것이고, 손실 중이신 분들은 심리적인 압박에 시달리실 수 있을 겁니다.

제가 드리고 정보는 이러한 모든 분들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려는데 있습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제가 굳이 말씀드리는 가격, 즉,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인의 매수 평균 단가가 제가 말씀드리는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구간 이하에 위치해 있다면 하락의 추세와 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여유를 갖고 상황을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만일 그렇지 못하다면,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의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대응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현금 규모가 총 투자금의 20% 미만이고 자신의 심리 상태가 불안하다고 느껴진다면 일부 매도하여 현금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추가 매수할 수 있는 여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심리적인 안정을 어느 정도 보장 받을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트레이딩이란 이와 같이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자신의 심리 상태에 맞게 대응해 나가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현재 자신의 심리 상태가 어떤지 냉정하게 바라보고 현금 보유를 잘 체크하여 자신의 투자 스타일에 맞게 대응 전략을 만드셔야 합니다.

이것이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전략입니다.

-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공적인 거래가 되기를 기원입니다.

--------------------------------------------------
Note
#DOGEUSDT.P 30m
snapshot
기계적인 거래를 경험하고 싶거나 익숙해지고 싶다면, 선물 거래를 추천합니다.

선물 거래시에는 수익에 해당되는 코인(토큰) 갯수를 남겨두는 거래 방식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현금 수익을 얻기 위한 대응 전략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기계적으로 거래를 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에 해당됩니다.

선물 거래시에도 1M, 1W, 1D 차트에서 작도된 지지와 저항 지점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거래하는 타임 프레임 차트(본 설명에서 사용한 차트는 30m 차트입니다)에서 지지와 저항 지점이나 지표들을 활용하여 기계적인 거래를 진행하면 됩니다.

예들들어, BW(100), HA-High 지표에서 하락할 때 매도(SHORT)으로 거래를 시작하고, BW(0), HA-Low 지표 부근으로 하락하였을 때 청산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때, 100% 청산할 것인가, 아니면, BW(0), HA-Low 지표 부근을 터치하였을 때 일부 청산하고 매도(SHORT) 포지션의 거래 가격 부근에서 100% 청산하게 할 것인를 선택 가능합니다.

반대로 BW(0), HA-Low 지표에서 상승할 때 매수(LONG)으로 거래를 시작하고, BW(100), HA-High 지표 부근으로 상승하였을 때 청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번 청산하게 되면, 최소 반 파동, 보통 한 파동 정도 상황을 지켜본 다음 거래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물 거래시 포지션 스위칭으로 연속적인 거래를 진행할 수도 있지만, 앞서 말씀드렸듯이 선물 거래는 최대한 거래 횟수를 줄이는 것이 최고의 거래 방식이기 때문에 한 거래가 마감되면 기다리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최소 2개의 코인(토큰)의 차트를 보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하나의 코인(토큰)의 거래가 마감되었을 때 다른 코인(토큰)의 거래를 시작할 수 있다면 청산 후 연속적인 거래가 아닌게 되므로 위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Disclaimer

The information and publications are not meant to be, and do not constitute, financial, investment, trading, or other types of advice or recommendations supplied or endorsed by TradingView. Read more in the Terms of Use.